심뇌혈관질환 100문 100답
전북권역 심뇌혈관센터의 자주하는 질문 모음입니다.
여러분의 많은 사랑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.
자주하는 질문 |
---|
1 심뇌혈관질환이란 무엇인가요? |
심뇌혈관질환은 고혈압, 당뇨병, 이상지질혈증(고지혈증) 같은 동맥경화증의 선행이 되는 질환과 심혈관질환(심근경색증, 협심증) 및 뇌혈관질환(뇌경색, 뇌출혈)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. |
2 심뇌혈관질환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? |
질환의 특성상 발생 후 사망률이 높고 의학적 치료가 끝난 이후에도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어 환자와 가족 및 사회에 커다란 부담을 초래합니다. 심뇌혈관질환은 적극적인 예방이 가장 중요하지만, 초기대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환자의 생사가 좌우될 수 있으므로 어떤 질병보다도 초기대처법이 중요합니다. 하지만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심뇌혈관질환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 올바른 대처를 못하거나 초기 대처에 늑장을 부려서 제때 의학적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입니다. |
3 우리나라의 심뇌혈관질환 환자수는 얼마나 되나요? |
2015년 한 해 동안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약 86만명, 진료비용은 약 7,352억원으로 매년 3.3%씩 증가하였으며, ‘혀혈성 심장질환‘은 전체 진료인원 10명 중 9명(90.9%)은 50세이상 중·노년층으로, 또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. 뇌졸중 전체 환자 수는 2018년 약 62만1천명으로 2014년 대비 6만7천명 증가하였으며, 진료비는 2018년 약 1조7천200억원으로, 2014년 대비 5천446억원 증가하였습니다. |
4 우리나라에서 심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얼마나 되나요? |
2019년 우리나라의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, 암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27.5%로 가장 많았으며,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20.4%로 암으로 인한 사망 다음으로 한국인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습니다. 특히 뇌졸중으로 대표되는 뇌혈관질환의 사망은 7.3%로 높은편이며, 허혈성 심장질환은 4.6%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최근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. 전북지역에서 2019년 표준인구 10만 명당 질환 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심장질환(28.7명), 뇌혈관질환(20.1명)으로 전체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암(27.5명) 다음으로 높은 사망원인입니다. |
5 심뇌혈관질환이 증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? |
최근 우리나라 식생활의 서구화, 사회경제적 발전 및 고령인구의 증가 등으로 인해 심뇌혈관질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. |
6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얼마나 되나요? |
심뇌혈관질환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6~2015년간 연평균 6.5% 증가하였습니다. 허혈성 심장질환의 총 진료비는 2011년 약 6,456억에서 2015년 약 7,352억으로 약 896억(13.9%) 증가하여 연평균 3.3%의 증가되었으며, 뇌졸중 진료비는 2018년 약 1조 7,200억원으로, 2014년 대비 5,446억원 증가하였습니다. 같은 기간 암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 4.6%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가 더 급격히 증가하는 형태이며, 고령화로 인해 더욱 빠르게 증가될것으로 예상됩니다. |
7 우리나라의 심뇌혈관질환 급성기 치료 성적은 어떤가요? |
우리나라에서의 병원 도착 후 전문적인 치료시작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선진국과 큰 차이를 보입니다. 뇌졸중 환자의 경우 증상발생 후 3시간 이내에 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비율은 42.3%(2018년, 응급의료현황통계)에 불과했는데 이는 무려 8천여 명이 치명적인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결정적인 시기를 놓친 것입니다. 또한 전체 환자의 9.6%에게만 혈전용해치료가 제공되는 등 우리나라의 급성기 치료성적은 매우 낮은 편입니다. |
8 심뇌혈관질환은 예방이 가능한가요? |
세계보건기구(WHO)에 의하면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으로 인한 조기사망의 80%는 금연 및 고혈압, 당뇨병, 고지혈증 관리를 통해 예방 가능합니다. 우리나라는 고혈압, 당뇨병의 조절률이 2016년 각각 43.7%, 31.7%에 불과하여 예방 가능한 사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. |
Copyright(c) wonkwang university Hospital. all right reserved.
[인증범위] 의료정보시스템(OCS/EMR) 및 홈페이지 서비스 운영
[유효기간]2021-04-22 ~ 2024-04-21
보건복지부 인증의료기관[유효기간]2023.03.30~2027.03.29